본문 바로가기
덕(德)/글쓰기-원자력-

전세계 원자력 정책 개요

by 고먀 2024. 4. 26.

원자력은 지속 가능하고, 청정한 에너지원으로 각광받으면서도, 그 위험성과 폐기물 처리 문제로 인해 여전히 많은 논쟁의 중심에 있습니다. 세계 각국은 이러한 장단점을 고려하여 자국의 에너지 수요와 환경 정책에 맞추어 각기 다른 원자력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 프랑스, 일본, 한국, 독일의 원자력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원자력

 

 

 

 

미국의 원자력 정책

미국 에너지 정보청에 따르면 천연가스 38.3%, 석탄 21.8% 재생가능 에너지 약 20% 그 다음이 원자력입니다. 미국은 원자력 발전의 선구자 중 하나로, 전체 전력의 약 20%를 원자력에서 얻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청정 에너지원으로서 원자력의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으며, 새로운 원자력 기술 개발과 함께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의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또한, 오래된 원자력 발전소의 수명 연장과 새로운 발전소 건설에 대한 규제 완화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원자력 정책

프랑스는 전체 전력의 약 70%를 원자력에서 생산하며, 원자력에 매우 의존하는 국가입니다. 그러나 후쿠시마 사고 이후 안전성 문제가 부각되면서 원자력 의존도를 점차 줄이고자 하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2035년까지 원자력 발전 비율을 50%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재생가능 에너지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4.04.13 - [덕(德)/글쓰기-원자력-] - 주요 원자력 사고 분석: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의 수치적 접근

 

주요 원자력 사고 분석: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의 수치적 접근

원자력 사고는 그 영향이 광범위하고 장기적이며, 각 사고의 발생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본 글에서는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원자력 사고를 수치를 기반으로

ta05135.tistory.com

 

 

 


 

일본의 원자력 정책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일본의 원자력 정책은 크게 흔들렸습니다. 본은 사고 이후 모든 원자로를 일시 정지했고, 안전 검토와 공공의 반대로 인해 재가동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일부 원자로는 재가동을 했으나, 일본 정부는 에너지 안보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의 역할을 재정립하려 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원자력 정책

한국은 전력의 약 30%를 원자력에서 얻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 문제와 공공의 반대로 인해 원자력 발전 비중을 줄이고 재생가능 에너지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정책으로 점차 전환하고 있습니다. 특히, 오래된 원자력 발전소의 폐기와 신규 발전소 건설 중단이 주요 정책 방향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독일의 원자력 정책

독일은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 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른바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정책에 따라, 독일은 2022년까지 모든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하고 재생가능 에너지로 완전히 전환할 계획입니다. 이는 독일의 에너지 정책에서 큰 전환점이며, 전 세계적으로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정책입니다.

 

 

 

 

 


결론

 

일부 국가에서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강해졌으나, 원자력 기술의 안전성 개선과 새로운 세대의 원자로 개발로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을 크게 감소시키며, 동시에 에너지 생산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첨단 안전 기술의 도입을 통해 공공의 신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원자력은 지속 가능한 미래의 에너지 솔루션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에너지 전략에서 원자력이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