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智)/RI-원자력장해방어-

방사선장해방어 Ch4 -방사선 방호체계-

by 고먀 2024. 3. 18.

방사선 방호체계에 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 = 나만의 암기 방법

파란색 = 암기

빨간색 = 첨언

보라색 = 궁금증

 

 

 

이전 글 참조

2024.03.14 - [지(智)/원자력-원자력장해방어-] - 방사선장해방어 Ch3 - 내부피폭-

 

방사선장해방어 Ch3 - 내부피폭-

저번시간에 다뤘던 외부피폭선량에 이어 이번에는 내부피폭과 관련된 ALI, DAC, e_50을 다뤄보겠습니다. 외부피폭이 궁금하시다면 밑에 링크를 눌러주세요 ! 2024.03.04 - [지(智)/원자력] - 방사선장

ta05135.tistory.com

 


 

 

 

 

 

 

방사선 방호의 3원칙

 

1) 행위의 정당화 : 방사선피폭은 이를 수반하는 어떠한 행위로 인한 손해 또는 위험보다 이로부터 얻어지는 순이득이 클 경우에만 정당화된다.

 

2) 방어의 최적화 : 개인의 방사선피폭량, 피폭자 수, 잠재피폭 가능성은 경제적, 사회적 인자들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달성가능한 범위에서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ALARA)

(ALARA :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 방사선 피폭의 수준을 합리적으로 달성 가능한 한 감소시킨다는 철학)

 

3) 개인의 선량한도 : 행위로부터 야기되는 개인의 피폭은 위원회에서 정한 선량한도 이하로 제한되어야 한다.

더보기

방어 3 정최선 ( 방어를 사는 게 정말 최선이다.)

 

 

 

행위 vs 개입

 

1. 행위 : 방사선 사용에 따른 피폭을 증가시키는 인간 활동

 - 대상 : RI, RG 등을 사용하는 의료기관, 산업체, 연구소, 원자력 발전소 등

 - 성격 : 사전 대응형 방어 가능

 - 방사선방어 체계 : 정당화 > 최적화 > 선량한도 적용

 

2. 개입 : 방사선 사고에 대한 피폭을 감소시키는 인간 활동

 - 대상 : 원전사고, 옥내 라돈 가스 등

 - 성격 : 사후 대응형 방어

 - 방사선방어 체계 : 정당화 > 최적화 적용

 

 

 

 

 


 

 

선형무문턱가설 (LNT model) 

방사선 노출과 암 발생간의 관계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매우 낮은 수준의 노출도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가설입니다.

 

아무리 낮은 피폭선량에서도 인체의 확률적 영향인 암 및 유전적 영향의 발생확률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영향의 발현에 문턱선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개념으로 이 가설에 착안하여 방호의 최적화 ALARA를 제시하였습니다.

(LNT : Linear No Threshold Model)

 

방사선 호메시스(radiation hormesis)

생물학적 시스템이 외부 요인에 대해 일종의 균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저준위방사선은 세포기능을 자극하고 면역학적 반응 증진과 체내 호르몬의 평형조절등으로 인한 인체의 자연방어 메커니즘이 향상된다는 이론.

 

더보기

☆---home은 좋은 곳 따라서 방사선 호메시스는 긍정적 영향

 

 

적응반응(adaptive response)

낮은 농도의 방사선 노출은 세포를 보호하고, 미래에 더 높은 농도의 방사선에 대한 저항력을 키울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방사선 호메시스를 뒷받침하는 이론으로 방사선에 의해 세포가 적응력이 향상되어 후속하는 방사선에 대응체계를 형성하는 현상을 적응반응이라고 합니다.

 

 

구경꾼효과(by-stander effect)

방사선에 노출된 세포는 주변 세포에 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주변 세포도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무리세포 중 특정세포에만 방사선을 조사한 경우 피폭한 세포뿐만 아니라 인근의 피폭하지 않은 세포에도 영향이 나타나는 파급현상을 말합니다

 

더보기

☆----싸움이 나도 구경꾼들의 소문으로 더 나빠진다.

 

유전자불안정성 이론(genomic instability)

원자력 발전소 등 방사선에 노출될 떄 유전자에 손상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입니다.

 

피폭한 세포가 아닌 몇 대 후손 세포에서 뒤늦게 영향이 발현되는 파급현상.

 

 


 

 

 

 

방사선방어의 유형

1. 개인 중심 방사선방어

 - 한 개인에 대해 복수의 방사선원으로부터의 피폭에 대한 방사선 방어

 - 평가선량 : 개인선량

 - 방사선방어체계 : 선량한도

 - 방어개념 : 개인의 선량한도 적용

 

 

 

2. 선원 중심 방사선방어

 - 한 선원으로부터 다수의 사람이 받는 피폭에 대한 방사선 방어

 - 평가선량 : 집단선량(선원관리)

 - 방사선방어체계 : 정당화, 최적화

 - 방어개념 : 선원관리가 중요 (개인관리보다 효율적)

 

 


방사선방어의 목표

1. 편익을 가져오는 방사선 피폭을 수반하는 행위를 부당하게 제한하는 일이 없이 사람의 안전을 확보

 

2. 결정적 영향

 

 -각성이 선량에 따라 변하며 어떤 발단치(Threshold)가 존재.

 -원인과 결과 관계 명확.

 -발생을 방지 

 

ex) 수정체의 혼탁, 불임

더보기

☆----> 이미 발생한 영향

 

3. 확률적 영향

 

 -발생확률은 피폭선량에 비례하지만 심각성은 피폭선량에 무관.

 -원인 결과 구분이 불분명하다.

 -발생을 가능한 한 낮게 감소

 

ex) 저선량의 피폭을 자주 받으면 암 발생 확률 증가하지만 암이 일단 방생을 하면 피폭을 적게 받은 사람이 덜 치명적인 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더보기

☆----- 발생할걸? 영향

 

 

 


한도 vs 준위

 

 

한도 ( 각각의 정의를 암기 ) 

 

1. 기본한도(1차 한도) : 기본적인 한도로 개인이나 집단에 적용된다.

 

2. 보조한도(2차 한도) : 1차 한도를 적용할 수 없을 때 1차 한도에 부합하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한도

 

3. 유도한도

 - 정의 : 방사선방어 실무상 편리하도록 설정된 한도로 1,2차 한도로부터 유도

 - 종류 : DAC, 표면오염한도, 선량률한도, 유도방출한도, 환경물질 오염한도

 

4. 인정한도 : 정부 도는 규제기관에 의하여 상위 한도량의 범위 내에서 자체적으로 재설정되는 한도로 위에 위 1~3을 인정한도로 적용하고 있다.

 

5. 운영한도

 인정한도를 준수할 목적으로 시설운영자가 상위 한도량의 범위 내에서 재설정하는 한도로, 방사선시설의 운영을 위한 안전관리규정에 적용한다

 

 

준위

 

1. 기록준위

 

 - 감시 분석결과에 대한 일정한 값 설정 : 설정치 초과 시만 장부에 기록

 - 설정기준 : 한도량의 1/100 정도

 

2. 조사준위

 

 - 감시 결과 기준 값 초과 : 원인 규명 위하여 설정

 - 설정기준 : 정상준위 2~3배 정도

 

3. 개인(간섭) 준위

 

 - 비교적 높은 준위 설정

 - 설정 기준 : 기본한도 치에 상응하는 값

 - 시설 가동 중지 및 해당 작업자 작업 중지 후 안전한 상태로 회복된 후 운전 개시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