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덕(德)/글쓰기-원자력-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 - 한빛 원자력 발전소(구 영광) -

by 고먀 2024. 6. 5.

영광 원자력 발전소

영광 원자력 발전소는 전라남도 영광군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입니다.

 

 

전라남도 영광

 

 

 

총 6기의 가압경수로형 원자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발전 용량은 5,875MW입니다.

 

Q) 원자력 발전소 규모 비교

더보기

영광 원자력 발전소: 5,875MW

월성 원자력 발전소: 2,800MW

고리 원자력 발전소: 5,780MW

울진 원자력 발전소: 5,900MW

AI로 그린 한빛 원자로

 

원래 명칭은 '영광 원자력 본부'였으나 2013년 '한빛 원자력 본부'로 변경되었습니다.

한빛 원자력 본부는 국내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원자력 본부이며, 다양한 원자로형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한빛 원자력 본부의 주요 업무

1. 원자력 발전소 운영 및 유지보수

발전소 운전 

  • 원자로 및 발전기 운전, 안전 점검 등 발전소 운전 전반을 관리합니다.
  • 발전소 운영 계획, 정비 계획, 연료 관리 계획 등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정비 및 보수 :

  • 정기 점검, 고장 수리, 설비 개선 등 발전소 설비의 체계적인 유지보수를 수행합니다.
  • 원자력 발전소 유지/보수 비용은 발전소(2개 호기) 당 연간 약 800~1,000억 원이 소요됩니다

https://www.kepco-enc.com/menu.es?mid=a10302020200

 

[가동] 운영 및 유지보수 | 생애주기별 맞춤설계 | 원자력 | 사업영역 : 한국전력기술 : 한국전력

한국전력기술

www.kepco-enc.com

 

원전 건설비용과 해체 비용

https://www.khnp.co.kr/main/selectBbsNttView.do;WCN_KHNPHOME=TAtjynkNhZu8RZahry9NUUIkMbgrHImrHBhGPAnPvl-NtwagCF3X!1362500586?key=384&bbsNo=76&nttNo=27320&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65

 

회사소개, 정보공개, 원자력, ESG경영, 한수원채용, 기업홍보, 참여마당

회사소개, 정보공개, 원자력, ESG경영, 한수원채용, 기업홍보, 참여마당 페이지 입니다.

www.khnp.co.kr

 

2. 원자력 안전 관리

방사선 안전 관리

  • 발전소 내 방사선 준위 모니터링, 종사자 피폭 관리 등 방사선 안전을 위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비상 대응 체계 구축

  •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비상 계획 및 훈련을 실시합니다.

품질 관리

  • 발전소 설비 및 운영 전반에 걸쳐 엄격한 품질 관리 기준을 적용합니다.

 

원자력안전관리.pdf
0.85MB

 

3. 지역 어민 지원

어장 조성 지원

  • 발전소 온배수를 활용하여 어민들의 양식장을 조성하고 지원합니다.

수산물 방류

  • 발전소 주변 해역에 어린 수산물을 방류하여 어민들의 소득 증대를 돕습니다.

지역 협력 사업:

  • 어민들의 복지 증진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협력 사업을 추진합니다.

 

 

실시간 운영 정보 확인

한빛 원자력 본부의 실시간 운영 정보는 '열린원전운영정보'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npp.khnp.co.kr/index.khnp#BR0303

 

열린원전운영정보 - 한국수력원자력

열린원전운영정보

npp.khnp.co.kr

 

24.06.04 한국수력원자력

 

 

 


한빛 원자력 발전소의 역사 및 개발

한빛 원자력 발전소는 1986년 1호기 준공을 시작으로 2002년 5·6호기까지 순차적으로 상업운전을 개시했습니다.

 

총 6기의 발전기를 갖추고 있으며, 2012년 당시 국내 원자력발전소 총 발전량의 32%를 담당하는 주요 발전소였습니다.

 

2013년에는 영광원자력발전소에서 한빛원자력발전소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Q) 명칭 변경 이유는?

더보기

이는 발전소 소재지인 영광군과의 혼동을 방지하고, 발전소의 정체성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한빛'이라는 명칭은 발전소가 위치한 지역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상징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한빛'은 한국의 전통적인 미와 기술력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기술적 특성 및 원자로 유형

1. 가압경수로(PWR) 원자로 기술

한빛 원전은 가압경수로(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형식의 원자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WR 원자로는 안전성과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냉각재로 경수(Light Water)를 사용하며, 압력용기 내부에서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는 구조입니다.

경수를 사용하여 냉각과 감속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PWR 원자로의 특징입니다.

2. PWR 원자로의 주요 구성 요소

핵연료 집합체

  • 핵연료봉: 우라늄 연료가 들어있는 금속관 튜브
  • 제어봉: 핵반응을 조절하는 역할
  • 계측기: 원자로 내부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센서

 

원자로 냉각재 계통

  • 원자로: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는 장소
  • 냉각재 펌프: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을 제거
  • 가압기: 냉각수의 압력을 유지
  • 증기발생기: 1차 냉각수의 열을 2차 계통으로 전달

 

2차 계통

  • 증기발생기: 1차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2차 계통의 증기를 생산
  • 터빈: 증기발생기에서 생산된 증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기를 구동
  • 복수기: 터빈을 통과한 증기를 응축시켜 물로 만듦
  • 급수 계통: 복수기에서 생산된 물을 다시 증기발생기로 보냄

 

3. PWR 원자로의 장점

안전성 향상

  • PWR 원자로는 냉각재로 압력을 가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고 위험이 낮습니다.
  • 냉각재 상실 사고 시에도 자연순환 냉각 등의 안전 시스템이 작동하여 노심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가압기와 격납 건물 등의 안전 설비가 갖추어져 있어 방사능 누출 위험이 낮습니다.

높은 효율성과 경제성

  • PWR 원자로는 기술적 성숙도가 높아 운전 및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 열효율이 약 30-35%로 다른 원자로 유형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 이에 따라 발전 단가가 낮아 경제성이 우수합니다.

기술적 성숙도 향상

  • PWR 원자로는 냉각재로 경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술적 성숙도가 높습니다.
  • 오랜 운전 경험과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인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합니다.
  • 또한 부품 및 운전 기술의 표준화가 잘 되어 있어 운영이 용이합니다.

 

4. 한빛 원전의 규모

한빛 원전의 총 발전 용량

  • 한빛 원전은 총 6기의 발전기를 갖추고 있습니다.
  • 각 발전기의 용량은 950MW급으로, 총 발전 용량은 5,875MW입니다. 
  • 이는 국내 최대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 중 하나입니다.

한빛 원전 1, 2호기 증설 계획

  • 한빛 원전 1, 2호기는 각각 2027년 6월부터 2035년 12월, 2027년 6월부터 2036년 9월까지 증설될 예정입니다.
  • 이를 통해 한빛 원전의 총 발전 용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빛 원전의 운영 현황

  • 현재 한빛 원전 1~6호기가 정상 가동 중입니다. 
  • 이를 통해 대규모 전력 생산이 가능하며, 국내 전력 수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https://www.khnp.co.kr/hanbit/selectBbsNttView.do?key=1660&bbsNo=108&nttNo=54422

 

공지사항 - 한빛원자력

페이지 입니다.

www.khnp.co.kr

 

 

이처럼 한빛 원전은 안전성과 효율성이 높은 가압경수로 기술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국내 최대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안전 관리 및 최근 이슈

한빛원자로발전소의 안전 관리 및 최근 이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안전 관리 체계

  • 방사선 안전 관리: 방사선 감시, 방사성 폐기물 관리 등을 통해 방사선 안전성 확보
  • 비상 대응 체계 구축: 비상 계획, 비상 훈련 등을 통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 가능
  • 품질 관리: 설비 점검, 정기 검사 등을 통해 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2. 최근 이슈

  • CLP 문제: 원전 내 CLP(Chlorinated Polyethylene) 케이블 문제가 발생하여 안전성 우려가 있었음
  • 화재 발생: 한빛 4호기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일시적인 전력 공급 중단이 있었음

 

한빛 1호기 수동 정지 사고

더보기

2019년 5월 10일, 한빛 1호기가 계획예방정비 후 가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수동 정지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원인 조사와 점검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조치가 필요했습니다.

 

한울 4호기 수동 정지 사고

더보기

2023년 4월 16일, 한울 4호기가 2차측 기기 냉각수계통 배관 누설로 수동 정지되었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한울 4호기의 수동 정지에 대한 안전성 검토를 진행했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71134.html

 

‘부실’ 한빛4호기 5년 만에 재가동…‘140개 구멍’ 돔 안전성 논란 여전

격납건물 부실공사에 따른 안전성 논란으로 5년여 동안 멈춰 있던 전남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 4호기가 11일 재가동에 들어갔다. 하지만 원전 지역 환경단체에서는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며

www.hani.co.kr

 

Q) CLP문제란?

더보기

CLP는 원자로 격납건물의 내부 콘크리트 표면을 보호하는 강철 라이너 플레이트를 의미합니다.

한빛 4호기에서 CLP 콘크리트에 공극(빈 공간)이 발견되어 약 5년간 가동이 중단되었습니다. 

 

 

 


환경적 영향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

환경 영향 관리

한빛 원전은 원전 운영에 따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방사선 환경 영향 평가를 통해 주변 환경과 주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 방사성 폐기물 관리, 냉각수 배출 등 다양한 환경 관리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

 

 

지역사회 협력

원전 운영에 따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관리 방안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한빛 원전은 지역 어민들을 위해 어장 조성, 수산물 방류 등의 지원 활동
  •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력 사업을 추진
  • 원전소통위원회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정기적인 소통 채널을 운영

 

https://www.khnp.co.kr/hanbit/selectBbsNttView.do;WCN_EXHP=Qo5iVgVCDry3rVIJfWGOK9EwwzsRCFHIFZaIDkViPXzAY7y-0odE!-1270224405?key=1661&bbsNo=109&nttNo=28730&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14

 

보도자료 - 한빛원자력

페이지 입니다.

www.khnp.co.kr

 

 

 


미래 전망 및 에너지 정책

장기 운영 계획 및 에너지 전환 대응

한빛 원전은 장기적인 운영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른 역할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재생 에너지와의 통합 가능성을 검토하고, 신기술 도입을 통한 발전소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장기 운영 계획

  • 한빛 원전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원전 운영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를 통해 원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원전 수명 연장 및 계획예방정비 등을 통해 장기적인 운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전환 대응

  •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한빛 원전은 역할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 재생 에너지와의 통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신기술 도입을 통한 발전소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이를 통해 원전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고, 에너지 전환 정책에 부응하고자 합니다.

 

신규 기술 도입

  • 한빛 원전은 신기술 도입을 통해 발전소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냉각재상실사고 대응 기술, 장기재순환냉각 기술 등 안전성 향상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 이를 통해 원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에너지 전환 정책에 부응하고자 합니다.

 


 

원전 안전성 강화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

  • 한빛 원전은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를 통해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계획예방정비를 통해 원전 설비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필요한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신 기술 도입

  • 한빛 원전은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발전소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냉각재상실사고 대응 기술, 장기재순환냉각 기술 등 안전성 향상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Q) 장기재순환냉각이란?

더보기

이는 사고 후 장기간 동안 노심을 안전하게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장기재순환냉각 기술은 주로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

재순환집수조 여과기: 사고 시 장기 재순환 냉각수원 역할을 수행 

안전주입계통: 냉각재 상실 사고 시 노심 냉각을 위해 붕산수를 공급

안전성 강화 대책

  • 한빛 원전은 인적오류 재발 방지, 시스템 개선 등 다양한 안전성 강화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원전 운영 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사용후핵연료 관리

  • 한빛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관리 대책도 중요한 안전성 이슈입니다. 
  • 사용후핵연료 저장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 협력 강화

지역 주민과의 소통 강화

  • 한빛 원전은 '한빛원전본부 소통위원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 이 회의에서는 원전 운영 현황, 지역 지원 사업 등을 논의하며 지역사회와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지역 경제 활성화 지원

  • 한빛 원전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 지역 전통시장 물품 기부, 지역 식당 이용의 날 운영, 지역 화폐 사용 독려 등의 활동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경제 생태계 구축

  • 한빛 원전은 전남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원전 지역의 사회적 경제 생태계 구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의 참여형 일자리 창출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신규 원전 가동 및 수출 전망

신규 원전 건설 재개

  • 정부는 2038년까지 대형 원자력발전소 3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를 새로 건설할 계획입니다. 
  • 이에 따라 원전 발전 비중은 2023년 말 30.7%에서 2038년 35.6%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형 원전의 수출 경쟁력

  • 한국은 원전 시공능력, 가격, 평판 등에서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어 수출 경쟁력이 양호합니다. 
  • 2023-2024년 중 한국형 원전 약 30조원 규모의 수주가 예상되며, 국내 기업들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해외 원전 시장 개척 기회

  • 대우건설은 체코 신규 원전 수주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체코 정부 관계자와 현지 원전업계 관계자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수주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원전 안전관리 강화

  • 신규 원전이 가동되기 위해서는 건설허가, 운영허가, 핵연료장전 등의 필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러한 과정을 엄격히 관리하여 신규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