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體)/주짓수 블루벨트

주짓수 용어정리

by 고먀 2024. 6. 13.

주짓수 대회에서는 각 기술 및 포지션 변화에 따라 점수를 부여합니다. 국제 브라질리안 주짓수 연맹(IBJJF)의 규칙을 기준으로 주짓수 점수 체계를 설명하겠습니다.

주짓수 점수 체계

기본적으로 한 자세를 3초 유지해야합니다.

  1. 테이크다운(Takedown) - 2점
    • 상대를 서 있는 상태에서 땅으로 넘어뜨리는 기술.
    • 상대가 가드를 연 상태로 넘어졌을 때도 점수가 주어짐.
  2. 가드 패스(Guard Pass ) - 3점
    • 상대의 가드를 성공적으로 뚫고 사이드 컨트롤, 마운트, 노스 사우스 등의 상위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기술.
  3. 스윕(Sweep) - 2점
    • 하위 포지션(주로 가드)에서 상위 포지션으로 전환하는 기술.
    • 상대를 뒤집어서 탑 포지션을 차지하면 점수가 주어짐.
  4. 니 온 벨리(Knee on Belly) - 2점
    • 상대의 몸통에 무릎을 대고 컨트롤하는 포지션.
    • 상대의 배에 무릎을 올리고 유지하면 점수가 주어짐.
  5. 마운트(Mount) - 4점
    • 상대의 가슴 위에 앉아서 상위 포지션을 유지하는 기술.
    • 완전히 마운트를 잡고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면 점수가 주어짐.
  6. 백 컨트롤(Back Control) - 4점
    • 상대의 등 뒤에 위치해 양 다리로 상대를 고정하는 포지션.
    • 백 마운트라고도 하며, 리어 네이키드 초크 등을 시도할 수 있는 포지션.

어드밴티지(Advantage) 점수

  • 어드밴티지 포인트(Advantage Points)
    • 기술을 거의 성공시켰거나 공격적인 시도를 인정받은 경우 부여됨.
    • 실제 점수로는 계산되지 않지만, 동점일 때 우위를 가릴 때 사용됨.

페널티(Penalty)

  • 패스시브 페널티(Passive Penalty)
    • 소극적인 플레이, 포지션 회피, 규칙 위반 등으로 인해 경고나 점수 감점이 주어짐.
    • 여러 차례 경고를 받으면 상대에게 점수가 주어짐.
    • 루찌라고 부릅니다.

점수 예시

  • 한 선수가 테이크다운을 성공하면 2점을 얻고, 그 후에 상대의 가드를 패스하여 사이드 컨트롤을 잡으면 추가로 3점을 얻습니다. 그 후에 마운트 포지션을 잡으면 다시 4점을 얻어 총 9점이 됩니다.

 


주짓수에서는 처음 탑을 가냐 가드를 가냐로 시작을 하는데요. 한 명이 가드 포지션을 가면 자동으로 다른 사람은 탑 포지션을 가게 됩니다.

보통 경량급들은 가드를 많이 가고 중량급들은 탑을 많이 가는 것 같아요..!(제 생각)

 

포지션(Position)

가드(Guard):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위치한 자세. 하위 포지션이지만 다양한 공격과 방어 기술이 가능함.

 

클로즈드 가드(Closed Guard)

  • 클로즈드 가드(Closed Guard): 다리를 상대의 허리 주위로 감아 고정하는 기본적인 가드 포지션. 상대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다양한 서브미션과 스윕을 시도할 수 있음.

제일 기본적인 가드포지션인 것 같아요!! 하지만 기본이 중요하다고 등한시했다가 대회 때 된통 당했습니다..ㅎㅎ

오픈 가드(Open Guard)

  • 오픈 가드(Open Guard): 다리를 풀어 상대를 컨트롤하는 가드 포지션. 다양한 변형이 있음.
    • 스파이더 가드(Spider Guard): 손으로 상대의 소매를 잡고 발로 상대의 팔을 컨트롤하는 가드.
    • 데라 히바 가드(De La Riva Guard): 한쪽 다리를 상대의 바깥쪽 허리에 감고 다른 다리로 상대의 다리를 컨트롤하는 가드.
    • 리버스 데라 히바 가드(Reverse De La Riva Guard): 데일라 히바 가드와 비슷하지만 다리를 반대로 감음.
    • 라소 가드(Lasso Guard): 한쪽 다리를 상대의 팔에 걸고 다른 다리로 상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가드.
    • 버터플라이 가드(Butterfly Guard): 양쪽 발을 상대의 허벅지 안쪽에 위치시키고 상대를 컨트롤하는 가드.
    • 엑스 가드(X Guard): 한쪽 다리를 상대의 다리 사이에 놓고 다른 다리로 상대의 다리를 감싸는 가드.
    • 싱글렉스 엑스 가드(Single Leg X Guard): 한쪽 다리로 상대의 다리를 감싸고 다른 다리로 상대의 몸을 컨트롤하는 가드.
저는 라소와 스파이더를 주로 애용합니다! 경량급인 제가 다리 힘으로 흔들 수 있어 유리한 것 같더라구요 ㅎㅎ
요새는 하프가드가 재밌어서 하프 > 코요테 > 딥하프로 가는 베리에이션을 연습하고 있어요 
여러 가드들을 다 할 줄 알고 유동적으로 가드운영을 하는 게 제 바램입니다.

 

하프 가드(Half Guard)

  • 하프 가드(Half Guard): 한쪽 다리로 상대의 다리를 컨트롤하는 가드 포지션.
    • 딮 하프 가드(Deep Half Guard): 상대의 다리 사이로 깊숙이 들어가 상대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스윕을 시도하는 가드.
    • 락다운(Lockdown): 하프 가드에서 상대의 다리를 더욱 강력하게 고정하는 변형.

오픈 가드가 말그대로 다리를 묶지 않고 방어 태세로 있다하면 하프 가드는 상대방의 다리를 하나 물어서 임하는 포지션입니다.

기타 가드 포지션

  • 리버스 하프 가드(Reverse Half Guard): 하프 가드의 변형으로, 상대의 다리를 반대로 감싸는 가드.
  • 50/50 가드(50/50 Guard): 양쪽 다리가 서로의 다리를 감싸고 있는 대칭적인 가드 포지션. 주로 다리 공격(레그 락) 시도에 사용됨.
  • 사이드 가드(Side Guard): 상대의 측면에서 다리와 팔을 이용해 상대를 컨트롤하는 가드.
  • 자니 가드(Z Guard): 한쪽 다리를 상대의 몸에 대고 다른 다리를 감싸 상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가드.
  • 웜 가드(Worm Guard): 상대의 기를 이용해 상대의 다리를 감싸고 컨트롤하는 가드.

여기 있는 가드들은 저도 잘 몰라서 단순히 찾아만 본 것들 입니다..ㅎ 기본도 못하는데 심화를 하기에는 힘들었어요 ㅠ

하이브리드 및 특수 가드

  • 케이블 가드(K-Guard): 하이브리드 가드로, 하프 가드와 버터플라이 가드를 결합한 형태.
  • 스탠딩 가드(Standing Guard): 상대가 일어선 상태에서 다리로 컨트롤하는 가드.

 

 


서브미션(Submission)

주짓수에는 다양한 초크와 관절기가 있으며, 각각의 기술은 특정 상황과 포지션에 따라 사용됩니다. 아래에 더 많은 초크와 관절기를 정리했습니다.

 

초크(Choke): 상대의 목을 조르는 기술.

  1. 트라이앵글 초크(Triangle Choke)
    • 다리로 상대의 목과 한 팔을 조르는 초크.
  2. 다스 초크(Darce Choke)
    • 한 팔로 상대의 목과 겨드랑이 아래를 감싸 조르는 초크.
  3. 아나콘다 초크(Anaconda Choke)
    • 상대의 목과 겨드랑이를 감싸 조르는 초크. 다스 초크와 유사하지만 자세가 다름.
  4. 보우 앤 애로우 초크(Bow and Arrow Choke)
    • 상대의 기(유니폼) 상의를 이용해 목을 조르는 초크.
  5. 에제키엘 초크(Ezekiel Choke)
    • 상대의 목을 팔과 손목으로 조르는 초크. 주로 마운트나 사이드 컨트롤 포지션에서 사용됨.
  6. 노스 사우스 초크(North-South Choke)
    • 상대의 목을 팔로 감싸고, 몸을 눌러서 조르는 초크.
  7. 페이퍼 커터 초크(Paper Cutter Choke)
    • 상대의 기(유니폼)를 이용해 목을 자르는 듯한 방식으로 조르는 초크.

관절기(Joint Lock) 종류

  1. 오모플라타(Omo Plata)
    • 상대의 어깨를 다리로 감아 꺾는 기술.
  2. 고고플라타(Gogoplata)
    • 다리로 상대의 목을 감싸고 발을 턱 아래에 위치시켜 조르는 기술.
  3. 에스텔라 플라타(Esteem Lock)
    • 손목과 팔꿈치를 꺾는 기술. 주로 기를 사용하지 않는 노기(no-gi) 상태에서 사용됨.
  4. 아킬레스 락(Achilles Lock)
    • 상대의 아킬레스건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도하는 레그락 기술.
  5. 힐 훅(Heel Hook)
    • 상대의 발뒤꿈치를 비틀어 무릎 관절을 공격하는 레그락 기술.
  6. 토 홀드(Toehold)
    • 상대의 발가락을 잡아 비틀어 발목과 무릎 관절을 공격하는 레그락 기술.
  7. 니바(Knee Bar)
    • 상대의 무릎을 꺾는 기술. 다리 관절을 펴서 압박함.
  8. 아메리카나 (Americana) 
    • 상대의 팔을 외회전시켜 어깨를 꺾는 기술
  9. 바라토플라타(Baratoplata)
    • 오모플라타와 유사하지만 다리를 다른 방식으로 걸어 어깨를 압박하는 기술
  10. 밴 플루 초크(Von Flue Choke)
    •  상대가 길로틴 초크를 시도할 때, 상대의 목을 팔로 감싸서 조르는 역공 기술

 

OO 플라타 이런 기술들은 전부 어깨를 꺾는 기술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1.  
저도 포스팅하면서 여러가지를 찾아봤는데 서브미션 종류가 정말 많은 것 같습니다. ㅎㅎ 
스파링 중 서브미션은 주로 하지 않고 포지션 게임만 주로 하는데 여러가지 써보고 싶네요 !! 
길로틴 카운터가 있었다니..!!

 


스윕(Sweep)

스윕(Sweep):  하위 포지션에서 상위 포지션으로 전환하는 기술로, 상대를 뒤집어 상위 포지션을 차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짓수에서는 다양한 스윕 기술이 존재하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상대를 제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다양한 스윕 기술의 목록입니다.

 

  • 펜들럼 스윕(Pendulum Sweep): 다리를 흔들어서 상대를 뒤집는 스윕.
  • 시저스 스윕(Scissor Sweep): 다리로 가위를 그리며 상대를 뒤집는 스윕.
  • 힙 범프 스윕(Hip Bump Sweep): 엉덩이로 상대를 밀어내며 뒤집는 스윕.
  • 데라 히바 스윕(De La Riva Sweep): 데라 히바 가드에서 상대의 균형을 무너뜨려 뒤집는 스윕.
  • 버터플라이 스윕(Butterfly Sweep): 버터플라이 가드에서 상대를 들어 올려 뒤집는 스윕.
  • 플라워 스윕(Flower Sweep): 한쪽 다리로 상대의 팔을 제압하고 다른 다리로 상대를 뒤집는 스윕.
  • 록킹 체어 스윕(Rocking Chair Sweep): 몸을 앞뒤로 흔들어 상대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스윕.
  • 오모플라타 스윕(Omo Plata Sweep): 오모플라타를 시도하면서 상대를 뒤집는 스윕.
  • 타워 스윕(Tower Sweep): 상대를 들어 올려 넘어뜨리는 스윕.
  • 리버스 시저스 스윕(Reverse Scissor Sweep): 시저스 스윕과 반대 방향으로 다리를 사용해 뒤집는 스윕.
  • 아쉬가라미 스윕(Ashi Garami Sweep): 한쪽 다리로 상대의 다리를 제압하고 다른 다리로 상대를 뒤집는 스윕.
  • 질리탄 스윕(Helicopter Sweep): 상대를 들어 올려 회전시키면서 뒤집는 스윕.
  • 플래닛 스윕(X-Guard Sweep): 엑스 가드에서 상대의 다리를 제압하고 상위 포지션으로 전환하는 스윕.
  • 카오스 스윕(Kao Sweep): 상대의 다리를 들어 올려 뒤집는 스윕.
  • 딥 하프 스윕(Deep Half Sweep): 딥 하프 가드에서 상대의 균형을 무너뜨려 뒤집는 스윕.
  • 스탠드 업 스윕(Stand Up Sweep): 하위 포지션에서 일어나면서 상대를 뒤집는 스윕.
  • 세 미나미 스윕(Seoi Nage Sweep): 상대의 팔을 잡아 넘어뜨리는 스윕.
  • 하프 가드 스윕(Half Guard Sweep): 하프 가드에서 상대의 균형을 무너뜨려 뒤집는 스윕.
  • 리버스 X 스윕(Reverse X Sweep): 리버스 엑스 가드에서 상대를 뒤집는 스윕.
  • 수작 스윕(Scissor Takedown Sweep): 다리로 가위처럼 상대의 다리를 제압하고 뒤집는 스윕.

 

주짓수를 한다고 하고 주짓수를 잘 모르는 친구들에게 가드 가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면 밑에서 앉아서 시작하면 불리하지 않냐고 합니다. 그러면 저는 이렇게 말해요. 스윕할 때 너무 짜릿하다고..!  그만큼 가드를 하는 사람들은 이 맛에 가드를 하는 것 같습니다.

 

 


가드 패스(Guard Pass)

가드 패스(Guard Pass): 상대의 가드를 뚫고 상위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기술.

가드도 디테일이 많이 필요하지만 가드패스 또한 정말 디테일이 많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가드 패스하는 데 필요한 압박과 그립. 탑을 주로 가는 분들에게 제일 맛있는 부분일겁니다.
또한 가드 > 스윕은 2점이지만 탑 > 가드 패스는 3점이기 때문에 더 달달합니다.

 

 

  • 토레안도 패스(Toreando Pass): 상대의 다리를 옆으로 밀어내고 사이드 컨트롤로 이동하는 기술.
  • 레그 드래그 패스(Leg Drag Pass): 상대의 다리를 옆으로 끌어당겨 패스하는 기술.
  • 오버 언더 패스(Over-Under Pass): 한쪽 다리는 위로, 한쪽 다리는 아래로 밀어내면서 패스하는 기술.
  • 킴라 패스(Knee Cut Pass): 무릎을 상대의 다리 사이로 밀어내며 패스하는 기술.
  • 스태킹 패스(Stacking Pass): 상대를 등 위로 들어 올려서 다리를 넘기며 패스하는 기술.
  • 도브 풀더 패스(Double Under Pass): 두 팔로 상대의 다리 아래를 통과시켜 패스하는 기술.

 

이동(Movement)

  • 쉬림프(Shrimp): 엉덩이를 뒤로 빼면서 공간을 만드는 움직임. 주로 가드에서 탈출할 때 사용.
  • 브릿지(Bridge): 몸을 아치형으로 들어올리는 움직임. 주로 포지션을 탈출할 때 사용.
  • 테크니컬 스탠드업(Technical Stand-Up): 바닥에서 일어날 때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며 안전하게 일어나는 기술.
  • 그랜비 롤(Granby Roll): 몸을 뒤로 굴려서 상대의 압박을 피하는 회전 기술.
  • 타트 스쿼트(Turtle Squat): 거북이 자세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으로, 상대의 공격을 피하면서 포지션을 전환.

드릴(Drill)

드릴(Drill): 특정 기술이나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것. 기술의 정확성과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됩니다.

  • 기술 드릴(Technique Drill): 특정 기술을 반복 연습하여 정확성을 높이는 연습.
  • 라이브 드릴(Live Drill): 일정한 강도로 실전처럼 연습하는 것.
  • 체력 드릴(Conditioning Drill): 체력을 기르기 위한 반복적인 움직임과 기술 연습.

에스케이프(Escape)

  • 에스케이프(Escape): 상대의 컨트롤에서 벗어나기 위한 움직임.
  • 업 앤 롤 에스케이프(Up and Roll Escape): 상대의 사이드 컨트롤에서 벗어나는 기술.
  • 힙 에스케이프(Hip Escape): 상대의 마운트에서 벗어나는 기술.

리커버리(Recovery)

다양한 리커버리 기술들은 주짓수 훈련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상대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피하고, 불리한 포지션에서 벗어나 유리한 포지션으로 회복하는 능력은 실전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가드 리커버리(Guard Recovery): 상대가 가드를 패스하려 할 때 다시 가드를 회복하는 기술.

터틀 리커버리(Turtle Recovery): 터틀 포지션에서 다시 가드로 돌아오는 기술.

하프 가드 리커버리(Half Guard Recovery): 상대가 가드를 패스하려 할 때 하프 가드로 돌아오는 기술.

풀 가드 리커버리(Full Guard Recovery): 하프 가드나 다른 가드 포지션에서 풀 가드로 돌아오는 기술.

사이드 컨트롤 리커버리(Side Control Recovery): 사이드 컨트롤에서 벗어나 다시 가드로 돌아오는 기술.

마운트 리커버리(Mount Recovery): 마운트 포지션에서 벗어나 다시 가드나 다른 포지션으로 돌아오는 기술.

백 마운트 리커버리(Back Mount Recovery): 상대가 백 마운트에 있을 때, 다시 가드나 다른 포지션으로 회복하는 기술.

스탠딩 리커버리(Standing Recovery): 바닥에 누워있다가 안전하게 일어나면서 포지션을 회복하는 기술.

브릿지 앤 롤 리커버리(Bridge and Roll Recovery): 상대가 마운트에 있을 때 브릿지를 사용하여 다시 가드로 돌아오는 기술.

쉬림프 리커버리(Shrimp Recovery): 쉬림프 동작을 사용하여 상대의 압박을 피하고 다시 가드를 회복하는 기술.

그랜비 롤 리커버리(Granby Roll Recovery): 상대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 그랜비 롤을 사용하여 다시 가드로 돌아오는 기술.

이노시타 리커버리(Inverted Recovery): 상대가 가드를 패스하려 할 때 몸을 뒤집어 다시 가드를 회복하는 기술.

레그 리커버리(Leg Recovery): 상대가 다리를 잡고 공격하려 할 때, 다리를 빼서 다시 가드로 돌아오는 기술.

암 리커버리(Arm Recovery): 상대가 팔을 잡고 공격하려 할 때, 팔을 빼서 다시 가드나 다른 포지션으로 회복하는 기술.

프레임 리커버리(Frame Recovery): 상대의 압박을 프레임을 사용하여 막고 다시 가드를 회복하는 기술.

팔로 리커버리(Flow Recovery): 상대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며 다시 가드를 회복하는 기술.

 

 

 

마지막으로, 화이트 때 화이트가 해야될 일은 리커버리와 이스케이프를 잘하도록 수련해야한다고 들었습니다. 앞으로도 건강히 다치지 않고 운동하시길 바라며.

Osss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