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智)/자격증

컴퓨터활용능력 1,2급 고효율 합격 후기 (feat. 꿀팁)

by 고먀 2024. 3. 2.

 

 
겨울동화
아티스트
신지훈
앨범
겨울동화
발매일
1970.01.01

목차

  • 1. 컴활 공부 방법 (1, 2, 3과목)
  • 2. 컴활 공부 방법 (2,3과목)
  • 3. 꿀팁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방학시즌 한 번쯤은 자격증 컴퓨터활용능력1급시험에 도전했을 것입니다. 진입장벽이 낮고 단기에 합격한 사람도 많으니 나도 해볼까 하며 많이들 도전하는 시험입니다. 

우선 컴활을 생각보다 만만하게 생각하고 접근하면 안된다는 말 드리고 싶습니다. 기본 코딩이나 컴퓨터에 대해 무지하신 분들은 처음에 따라가기 엄청 힘드실 겁니다. 공부를 하면 문제를 맞추고 그에 따른 쾌감도 느껴져야 하는데 생각보다 방대한 양에 생소한 단어들 때문에 힘드실 겁니다. 

 

이렇게 보니.. 생각보다 뭐가 많네요


1. 공부 방법

컴활과 같은 시험들은 CBT 시험으로 컴퓨터로 답을 체크하고 체점하는 시험입니다. 즉 여기서 중요한 건 과정을 보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오직 결과만 중요하죠.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시험을 대해야 할까요?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라는 말과 같이 우리는 상공회의소의 의도를 파악해야 합니다.

문제 자체가 대학교 공학시험처럼 과정에 부분점수를 주지 않는거죠.

그래서 저희는 전공자만큼의 지식을 이해하고 외우는 게 아닌 시험합격만을 위한 방향으로 나아갈겁니다.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문제는 올 해 부터 시험 살짝 바껴 최신 책(아무거나)을 사시는 걸 추천드리지만, 책 살 여유가 없으신 분들은 아래에 사이트를 들어가서 교사용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컴활1급 필기시험은 총 3과목으로 평균 60점을 받고 각 과목당 40점을 넘겨야 합니다. 보통 1과목인 컴퓨터 일반과 3과목인데이터베이스 일반을 합격컷을 넘기고 2과목에서 과락(40점 미만의 점수)이 뜨는 것 같습니다. 

자 그럼 어떻게 공부하는 지 볼까요?

 

1-1. 답지를 먼저 봅니다. 

이게 무슨 소린가 하실 수 있지만 최단시간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개념서를 먼저 보는 행동은 "아 그런가보다~~"하며 눈운동만 하게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어떤 '트리거(trigger)'가 없다는 뜻입니다.

뇌에 해마들이 서로 커넥션이 이어지게 하는 그런 연결고리가 필요한데 그런 과정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저희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답지를 먼저 보고 문제키워드를 제 손과 눈을 이용하여 연결시켜줘야 합니다. 

 


1-2 관련있는 키워드 정리

 키워드를 정리했으면 다른 연도의 문제들과 비교해서 문제에서 나오는 순서가 아닌 자기 만의 문제집을 만드는 겁니다. 

저는 #를 이용해서 많이 하는데 (마인드맵과 비슷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개념을 보면 자동적으로 생각나는게 나올 정도로 각 키워드들을 엮으면 됩니다.

 


1-3 개념서 보기

 위 과정을 하셨다면 이제 트리거는 생겼습니다. 이 연결고리를 조금 더 단단히 하기 위해 이제 개념서를 봅니다. 느낌이 다르실 겁니다. 뇌에 들어오는 수준과 정보습득하는 데 시간소요가 적을 겁니다.

왜냐 우리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봤고 트리거도 만들었기 때문에 필요한 정보만 보일테니까요.

 

더보기

* 추가사항 *

문제 중에 보면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이라고 묻는 문제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문제들이 고마운 문제들입니다. 

- 옳은 문장에 대한 정보 습득

- 옳지 않은 문장이 나오는 형식 파악 가능 

이 두가지의 이점으로만 해도 엄청난 이득이죠.

 


 

 

 

실제 cbt사이트에서 가져온 20년도 기출입니다. 옳지 않은 것을 물어보는 것이지요? 그 말은 다른 문장들은 다 옳은 문장이라는 의미입니다.

 

사고과정)  IPv6? 뭔지 모르겠다~

1번선지. 뭐 16비트 8부분 128비트 뭐 이런 게 있네 비트가 뭐야 어휴 모르겠다 그냥 저 숫자들만 많이 보자

IPv6 # 16,8,128 16*8은 128이네! 그럼 16비트랑 8만 외우면 되겠다 IPv6,16,8 6자 돌림이고 16에서 2나누면 8이네?! 오케이. (왜 이러냐면 기출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IPv4랑 헷갈리게 문제가 출제가 됩니다...ㅎ)

 

3번선지. 유니,멀티,애니 --> IPv6은 뭘 많이 하네 유니버셜 멀티미디어 애니메이션이네?

(그냥 아무소리나 하는 겁니다 트리거 형성이죠ㅎ)

 

4번선지. 멀티미디어 기능? 3번 외우면 그냥 외워지겠네~~


 

※정리 답지를 먼저 봐서 키워드를 적고 트리거를 만들고 개념서를 통해 연결고리를 단단하게 묶으면 됩니다.

우리의 뇌는 생각보다 나태하다고 들었습니다.

이 나태한 애를 왜 더 일을 안하냐!! 할 게 아니라 얘를 살살 달래가면서 공부를 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럴려면 적은 내용과 그에 맞는 암기사항을 주입시키면 됩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컴활시험에 대한 개념을 아무리 많이 안다고 해도 자격증(결과물)이 없으면 도루묵입니다.

2급도 위의 과정과 똑같이 하면 됩니다. 다음에는 2과목과 3과목 실기와 직결되는 공부방법을 업로드 하겠습니다

합격만 하면 됩니다. 이해는 최소로 암기를 최대로

 


TOP

Designed by 티스토리